본문 바로가기
공인중개사 실전 기출문제풀이(33회)

공인중개사 실전 기출문제 풀기-33회(2022년)학개론(11-15번)

by 헤어질준비 2023. 3. 31.
하루 5분 매일 기출문제 풀이 반복으로 시험장에서 시험문제 유형을 익숙하게 느끼게 하고 시험풀이의 두려움을 최대한 줄여드리고자 정답은 on/off 가능하게 만들어 드렸으며 틈틈히 기출문제풀이를 하신다면 분명 2023년 공인중개사 시험에는 고득점 합격 하실 수 있습니다. 화이팅!

부동산 학개론 11번 - 15번

11. 다음 설명에 모두 해당하는 입지이론은?

인간정주체계의 분포원리와 상업입지의 계층체계를 설명하고 있다.

재화의 도달거리와 최소요구치와의 관계를 설명하는 것으로 최소요구치가 재화의 도달범위 내에 있을 때 판매자의 존속을 위한 최소한의 상권범위가 된다.

고객의 다목적 구매행동, 고객의 지역 간 문화적 차이를 반영하지 않았다는 비판이 있다.

① 애플바움(W. Applebaum)의 소비자분포기법

② 레일리(W. Reily)의 소매중력모형

③ 버제스(E. Burgess)의 동심원이론

④ 컨버스(P. Converse)의 분기점 모형

⑤ 크리스탈러(W. Christaller)의 중심지이론

정답 확인

정답(5) 

12. 대형마트가 개발된다는 다음과 같은 정보가 있을 때 합리적인 투자자가 최대한 지불할 수 있는 이 정보의 현재가치는? (단, 주어진 조건에 한함)

대형마트 개발예정지 인근에 일단의 A토지가 있다.

2년 후 대형마트가 개발될 가능성은 45%로 알려져 있다.

2년 후 대형마트가 개발되면 A토지의 가격은 12억 1,000만원, 개발되지 않으면 4억 8,400만원으로 예상된다.

투자자의 요구수익률(할인율)은 연 10%이다.

① 3억 1,000만원

② 3억 2,000만원

③ 3억 3,000만원

④ 3억 4,000만원

⑤ 3억 5,000만원

정답 확인

정답(3)  (계산문제의 경우 블로그 글 작성 취지인 매일 5분 기출문제풀이와 성격이 맞지 않아 계산 풀이는 생략)

정보의 현재가치는 정보를 알고 있을 때(100%)의 미래가치를 현재로 할인한 값과 정보를 알지 못할 때의 미래가치를 현재로 할인한 값의 차이를 말한다. 따라서 각각의 경우를 구하고 비교해주면 된다.

13. 다음 설명에 모두 해당하는 것은?

서로 다른 지대곡선을 가진 농산물들이 입지경쟁을 벌이면서 각 지점에 따라 가장 높은 지대를 지불하는 농업적 토지이용에 토지가 할당된다.

농산물 생산활동의 입지경쟁 과정에서 토지이용이 할당되어 지대가 결정되는데, 이를 입찰지대라 한다.

중심지에 가까울수록 집약 농업이 입지하고, 교외로 갈수록 조방 농업이 입지한다.

① 튀넨(J.H.von Thunen)의 위치지대설

② 마샬(A. Marshall)의 준지대설

③ 리카도(D. Ricardo)의 차액지대설

④ 마르크스(K. Marx)의 절대지대설

⑤ 파레토(V. Pareto)의 경제지대론

 

정답 확인

정답(1)

14. 레일리(W. Reilly)의 소매중력모형에 따라 C신도시의 소비자가 A도시와 B도시에서 소비하는 월 추정소비액은 각각 얼마인가? (단, C신도시의 인구는 모두 소비자이고, A, B도시에서만 소비하는 것으로 가정함)

 A도시 인구 : 50,000명, B도시 인구 : 32,000명 

 C신도시 : A도시와 B도시 사이에 위치

A도시와 C신도시 간의 거리 : 5km

B도시와 C신도시 간의 거리 : 2km

C신도시 소비자의 잠재 월 추정소비액 : 10억원

① A도시 : 1억원, B도시 : 9억원

② A도시 : 1억 5천만원, B도시 : 8억 5천만원

③ A도시 : 2억원, B도시 : 8억원

④ A도시 : 2억 5천만원, B도시 : 7억 5천만원 

⑤ A도시 : 3억원, B도시 : 7억원

정답 확인

정답(3) (계산문제의 경우 블로그 글 작성 취지인 매일 5분 기출문제풀이와 성격이 맞지 않아 계산 풀이는 생략)

C 신도시 소비자가 A, B 도시로 갈 확률은 인구에 비례하고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한다. 따라서 A 도시로 갈 확률과 B 도시로 갈 확률을 구하고 C 신도시의 추정소비액을 확률에 따라 분배하면 A, B 도시의 월 추정소비액을 구할 수 있다.

 

15. 다음 입지 및 도시공간구조 이론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ㄱ. 베버(A. Weber)의 최소비용이론은 산업입지의 영향요소를 운송비, 노동비, 집적이익으로 구분하고, 이 요소들을 고려하여 비용이 최소화 되는 지점이 공장의 최적입지가 된다는 것이다.

ㄴ. 뢰시(A. Losch)의 최대수요이론은 장소에 따라 수요가 차별적이라는 전제하에 수요측면에서 경제활동의 공간조직과 상권조직을 파악한 것이다.

ㄷ. 넬슨(R. Nelson)의 소매입지이론은 특정 점포가 최대 이익을 얻을 수 있는 매출액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어떤 장소에 입지하여야 하는가에 대한 원칙을 제시한 것이다.

ㄹ. 해리스(C. Harris)와 울만(E. Ullman)의 다핵심이론은 단일의 중심업무지구를 핵으로 하여 발달하는 것이 아니라, 몇 개의 분리된 핵이 점진적으로 통합됨에 따라 전체적인 도시구조가 형성된다는 것이다.

① ㄱ, ㄴ  ② ㄷ, ㄹ  ③ ㄱ, ㄴ, ㄹ  ④ ㄴ, ㄷ, ㄹ  ⑤ ㄱ, ㄴ, ㄷ, ㄹ

정답 확인

정답(5)

 

 

 

댓글